코드=화음
반주법에서 코드는 약방의 감초가 아니라 약방 그자체입니다.
반주법에서는 코드가 그만큼 중요합니다.
코드란 무엇인가??
여러개의 음을 동시에 연주하는 것입니다.
최소한 3개 이상의 음을 눌러야하는데 많게는 5개를 누르기도 합니다.
이 각자의 음이 어떤 음이냐에 따라서 다양한 분위기를 내는데
이것이 위에 멜로디와 조합을 이루면 아주 멋진 음악이 되는 것입니다.
음악에는 그 음악의 얼굴이 되는 멜로디가 있습니다.
멜로디는 한음으로 이루어져서 그 노래하면 딱 생각나는 음입니다.
우리가 어떤 음악을 노래부르잖아요 우리가 부르는 음이 멜로디입니다.
그런데 멜로디만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음악이 아주 썰렁하겠죠
옛날에 핸드폰 4비트나 8비트 벨소리 생각해보세요
멜로디만 나오니깐 너무 단순해보이죠
이 썰렁한 분위기를 꽉 채우기위해서 화음(코드)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코드는 멜로디 뒤에서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실용음악이나 반주에서는
사람목소리나 색소폰 트럼펫 전자기타가 멜로디를 담당하고
피아노나 통기타 같은 경우에는 코드를 담당하죠
악보에 나온 코드기호를 읽는 법
위에 악보를 보시면 멜로디만 오선지에 그려져 있죠?
그리고 오선지 위에 보시면 영어와 무슨기호가 적혀있습니다.
바로 그것이 어떤 코드를 연주할지 알려주는 표시입니다.
위에 코드를 하나 가져와봤습니다.
항상 코드는 제일 앞에 대문자 영어가 적혀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음이름의 영어이름입니다.
이것이 코드의 가장 근음을 표시합니다, 1도이지요
그 뒤로 오는 기호는 소문자 영어도 있고 숫자도 있고 수학기호도 나오고 지멋대로입니다.
이것은 근음외 나머지 음들을 가르켜주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제 읽는 방법을 공부해야지요
코드를 읽는 순서는 먼저 근음을 먼저 읽고 오른쪽방향으로 차례대로 읽으면 됩니다.
3화음
3화음은 3개의 음으로 구성된 코드입니다.
가장 적은 음들이 구성된 코드이지요
종류는 5개정도 되는데 역시 외워야합니다.
앞으로 설명드릴때는 항상 C음을 예시로 사용하겠습니다.
1) C CM
첫번째는 메이저코드입니다.
악보에서의 표시는 근음만 표기합니다.
원래 근음뒤에 메이저표시의 기호 대문자 M이 붙어야하는데
요즘은 근음만 표기하는 추세입니다.
읽은 것은 근음만 읽고 코드를 붙입니다,
예시) C = 씨코드 F# = 에프샵코드
구성음은 1도 3도 5도 입니다.
저번에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에 대해 배웠죠??
드디어 써먹는군요
자 한번 예를 들어볼께요
D코드의 구성음은 뭘까요??
D스케일의 1도는 레 2도는 파# 5도는 라 입니다.
그래서 레 파# 라 입니다.
A코드의 구성음은 뭘까요??
E스케일에서 1도는 미 3도는 솔# 5도는 시 입니다.
이번에는 F#코드의 구성음은 뭘까요??
F#스케일의 구성음은 1도는 파# 3도는 라# 5도는 도# 입니다.
2) Cm
두번째는 마이너코드입니다.
악보에서의 표기는 근음 다음에 마이너의 기호인 소문자 m 을 붙입니다.
읽는 것은 근음 다음에 마이너 라고 부릅니다.
예시 ) Cm 씨마이너 G#m 쥐샾마이너
구성음은 1도 3도♭ 5도 입니다.
특징은 3도가 반음 내려갔죠?
앞에 메이저코드가 밝은 분위기의 소리를 낸다면
마이너코드는 어두운 분위기의 소리를 연출합니다.
자 이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Cm 의 구성음은 뭘까요??
C스케일의 1도는 도 3도는 미 5도는 솔 입니다.
그런데 마이너코드는 3도가 플랫되었으니깐 3도가 미♭ 이 됩니다.
그래서 Cm 코드의 구성음은 도 미♭ 솔 입니다.
Em 의 구성음은 뭘까요?
E스케일의 1도는 미 3도는 솔# 5도는 시 입니다.
그런데 마이너코드는 3도가 플랫되므로 3도가 솔#이 아니라 솔입니다.
그래서 Em 코드의 구성음은 미 솔 시 입니다.
B♭m 의 구성음은 뭘까요??
B♭스케일의 1도는 시♭ 3도는 레 5도는 파 입니다.
마이너코드는 3도가 플랫되니깐
3도가 레가 아니라 레♭ 입니다.
그래서 B♭m코드의 구성음은 시♭ 레♭ 파 입니다.
3) Csus4
세번째는 서스포코드입니다.
악보에서의 표기는 근음 다음에 소문자로 sus4 라고 표시합니다.
읽는 것은 근음 다음에 서스포코드라고 읽습니다.
예시) Esus4 이서스포코드 A♭sus4 에이플랫서스포코드
서스포코드의 구성음은 1도 4도 5도 입니다.
서스포의 sus 는 suspend의 줄임말이고 뒤에 4는 4도의 4입니다.
suspend의 뜻이 보류하다 라는 뜻인데
서스포코드의 느낌도 잠깐 보류하는 느낌이 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Esus4 코드의 구성음은 E스케일의 1도는 미 4도는 라 5도는 시 입니다.
그래서 미 라 시 입니다.
Fsus4 코드의 구성음은 F스케일의 1도는 파 4도는 시♭ 5도는 도 입니다.
그래서 파 시♭ 도 입니다.
4) C+ Caug
네번째는 어그먼트코드입니다.
악보에서 표기는 근음뒤에 더하기표시를 하거나 소문자로 aug를 붙입니다.
읽는 것은 근음 다음에 어그먼트코드라고 읽습니다.
예시) F#aug 에프샾어그먼트코드 Aaug 에이어그먼트코드
어그먼트코드의 구성음은 1도 3도 5도# 입니다.
이 코드는 생각보다 잘 안보이는 코드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Daug 코드 구성음을 보겠습니다.
D스케일의 1도는 레 3도는 파# 5도는 라 입니다.
그런데 어그먼트코드는 5도에 샾이 붙으니깐 라#이 됩니다.
그래서 Daug코드의 구성음은 레 파# 라# 이 됩니다.
이번에는 G#aug코드의 구성음을 알아보겠습니다.
G#스케일의 1도는 솔# 3도는 도 5도는 레# 입니다.
그런데 어그먼트코드는 5도에 샾이 붙으니깐 레# 이 미가 됩니다.
그래서 G#aug코드의 구성음은 솔# 도 미 가 됩니다.
5) Cdim
디미니쉬드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설명이 길어서 나중에 따로 설명드리겠습니다.
3화음을 배워봤는데요
코드를 보자마자 바로 손이 갈수 있도록 연습을 하셔야합니다.
음악은 강물처럼 흘러가기 때문에 생각하고 고민할 시간이 없습니다.
0.1초만에 코드를 바로 알아봐야합니다.
많은 연습이 필요하죠
'나부의 누구나 할수있는 4비트 발라드 반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강 코드로 반주하는 법 (0) | 2021.04.28 |
---|---|
5강 1 2 3 4 5 6 7 (연습편) (0) | 2021.04.27 |
4강 1234567 (3) (0) | 2021.03.23 |
2강 1234567 (1) (0) | 2021.03.21 |
2강 코드란 무엇인가? (0) | 202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