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오빠의 음악 첫걸음

(8)
8강 음이름의 다양한 이름 기초 강의도 이제 마지막이네요 이 강의는 기초적인 강의이므로 그냥 명칭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요리배우는 사람이 딱히 칼쓰는 법을 매일연습안해도 능숙해지는 것처럼 강의를 통해 배운 명칭들은 앞으로 음악활동하시면서 밥먹듯이 나오기 때문에 저절로 외워질 것입니다 이번에는 음이름의 여러가지 이름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이제는 음이름과 계이름 섞어서 사용하겠습니다 보통 음악에서는 음이름이란 단어보다 계이름이라는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음이름 = 계이름 저번 시간에 12계이름에 대해 확실히 배웠습니다 이렇게 계이름이 있습니다 하지만 저 도레미파솔라시도 라는 이름은 이탈리아에서 만든 이름입니다 지금은 온세계에서 다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는 영어이름과 한국어 이름도 같이 외워야합니다 도레미파솔라시는 이탈리아 언어이고 영..
7강 샾 플랫 안녕하세요 저번에는 반음과 온음에 대해 배웠습니다 마찬가지고 반음은 바로 옆에 붙어 있으니깐 반음은 바로 위에 음이나 바로 아래 음이라고 할 수 있지요 위에 그림을 보면 솔 기준으로 반음 아래는 1번 검은 음이고 솔 기준으로 반음 위는 2번 검은 음입니다 이번에는 파 기준으로 반음 아래이면 1번 미가 되는 것이고 파 기준으로 반음 위이면 2번 검은 음이 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샾과 플랫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샾과 플랫은 음악에서 정말 많이 쓰이는 기호중에 하나입니다 위에 그림이 먼저 샾입니다 우리에게는 익숙한 기호죠?? 전화번호나 비밀번호 등 정말 많이 쓰입니다 음악에서도 매우 많이 쓰이는 기호입니다 보통 음이름 바로 오른쪽에 표기 하며 악보에 음표 같은 경우에는 왼쪽에 표기합니다 샾이 붙으면 그 음을 ..
6강 반음 온음에 대해 안녕하세요 오늘은 살짝 어려운 주제에 대해 알아볼까합니다 너무 걱정은 마시고 ㅎ 저번에 흰 음은 확실히 명칭을 알았고 .. 맞죠?? ㅋ 검은 음은 아직 모릅니다 이번에는 관계에 대해 배울까합니다 두 음의 관계.... 어떻게 설명할까 하다가 결혼한 부부로 예를 들어 설명할까합니다 부부 사이에 애가 있으면 온음관계 부부 사이에 애가 없으면 반음관계로 하겠습니다 즉 온음관계는 두 음 사이에 또 한 음이 끼워져 있습니다 반면에 반음관계는 두 음이 서로 붙어있습니다 가운데 어떤 음도 없이... 마치 아기가 생기기 전 부부관계처럼 딱 붙어있습니다 ㅋㅋ 아닌가?.... 위에 그림을 보시면 도 하고 레 사이에는 검은 음이란 애가 존재하죠?? 그러니 도 하고 레 는 온음관계이죠 미 하고 파 사이에는 애가 없죠 ?? 그러..
5강 도레미파솔라시 저번에 12개의 음이 계속 반복된다고 했습니다 자 이렇게 반복되는 12개의 건반만 확대해봤습니다 모양도 눈에 익혀주세요 이제 저 음들의 명칭을 알아야겠죠?? 보시면 흰 음이 7개 검은 음이 5개라고 합니다 피아노에서는 저렇게 한음 한음을 건반이라고 합니다 위에를 보시면 흰 음은 명칭이 있습니다 그러나 검은 음은 물음표로 해놓았죠?? 왜냐면 지금 알아버리면 머리가 혼란스럽기 때문에 먼저 다른 거 공부를 하고 검은 음의 명칭을 하면 이해가 쉬울 거예요 흰건반의 명칭은 꼭 외우셔야 합니다 그냥 도 다음에 레 그다음 미 그다음이 파 이렇게 순서로만 외우시면 안 됩니다 왜냐면 피아노 같은 경우에는 88개의 건반 전체를 보고 명칭을 알아내야 합니다 그러니 꼭 모양을 보고 위치를 꼭 파악해야 합니다 "아 레는 검은 ..
4강 음악의 시작 (외울거 많다 ;;;) 저번에 음악에서는 88개의 음을 사용한다고 정해놨습니다 법칙으로 말이죠 악기에 따라서 88개보다 더 많을 수도 더 적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저 88개의 음도 아마 전부 사용 못합니다 ㅋㅋㅋ 실제로 우리가 연주하면서 주로 사용하는 음의 개수는 70개?? 60개?? 정도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이론을 배워야하니깐 일단 88개를 다 알아야합니다 아마 여러분은 이 88개 이름을 어느 세월에 다 외우냐??ㅠㅜ 그러실겁니다 ㅋㅋ 여러분 걱정 마세요 12개의 이름이 계속 반복됩니다 우리는 그 12개만 외우면됩니다 자 먼저 위에 88개의 음들이 있습니다 눈치 채셨나요??ㅎ 맞습니다 일정한 모양이 계속 반복되죠?? 위에 보시면 빨간 네모안에 모양대로 계속 반복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게 하면 총 7개 ..
3강 음악의 법칙 저번에 우리가 어떤 물체가 떨리면 그 떨리는 소리가 귀에 들어가면 우리가 소리로 듣는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 소리는 높낮이가 있는데 얼마나 1초에 더 많이 떨리면 높은소리 1초에 더 적게 떨면 낮은소리가 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 우리가 들을수 있는 떨림 즉 1초에 몇번 떠는가 이게 주파수인데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는 1초에 20번 떠는거 부터 1초에 20만번 떠는 거 까지 들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1초에 몇번 진동하는 가 나타내는 기호가 헤르츠입니다 (Hz) 입니다 예를 들면 1초에 30번 진동하면 30Hz 1초에 1만번 진동하면 10000Hz 입니다 그러면 20Hz 부터 200000Hz까지 그러면 20Hz 21Hz 22Hz 23Hz ··································..
2강 소리가 음악으로 변신 저번 시간에는 소리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알았습니다 이 소리는 듣기싫은 소음공해가 될 수도 있고 아름다운 음악소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듣기 싫어하는 냄비뚜껑 소리도 정제하고 아름다운 울림이 나오도록 조정하면 아름다운 심벌 소리가 될 수 있습니다 통기타아시죠 ?? 아름다운 소리를 들려주는 악기입니다 하지만 이 통기타도 줄이 6개가 있는데 아무 질서나 법칙없이 6줄을 진동하게 만들면 이 것도 소음이 됩니다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악기가 소음이 될 수도 있는 것이지요 이것처럼 소리가 음악이 되려면 질서와 법칙에 따라야 합니다 먼저 음악의 소리는 높이가 있어요 낮음소리가 있고 또 높은 소리가 있습니다 피아노와 기타 바이올린 등 여러악기 소리 나는 데 쓰이는 줄을 가지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줄을 가지고 낮은소..
1강 소리의 원리에 대해서 배우자 소리가 어떻게 날까?? 어떤 물체가 진동을 하면 그게 공기를 타고 고막을 흔들거려서 고막이 흔들리는 거를 소리로 듣는거다 그럼 물체가 흔들려야 하는데 여기서 물체는 공기도 포함이다 ㅎㅎ 기타는 줄이 흔들리고 피아노도 역시 줄이 흔들린다 드럼은 북은 피와 나무가 흔들리고 심벌은 쇠가 흔들린다 근데 리코더와 피리는 공기를 흔들리게 만들어서 소리를 낸다 이렇게 물체가 흔들리면 소리가 나는데 너무 천천히 흔들리면 소리가 안나고 너무 빨리 흔들려도 소리가 안난다 정확히 말하면 우리 귀에 들리지가 않는다는 말이다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진동은 초당 20번 진동에서 20만번 까지이다 이것도 아주 귀가 좋은 사람일 경우고 내 생각에는 초당 50번에서 15만번까지 인거 같다 이렇게 물체가 흔들리면 소리가 나는데 우리의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