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오빠의 음악 첫걸음

3강 음악의 법칙

저번에 우리가 어떤 물체가 떨리면 그 떨리는 소리가 귀에 들어가면 우리가 소리로 듣는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 소리는 높낮이가 있는데 얼마나 1초에 더 많이 떨리면 높은소리 

 

1초에 더 적게 떨면 낮은소리가 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 우리가 들을수 있는 떨림

 

즉 1초에 몇번 떠는가 이게 주파수인데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는 

 

1초에 20번 떠는거 부터 1초에 20만번 떠는 거 까지 들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1초에 몇번 진동하는 가 나타내는 기호가 헤르츠입니다 (Hz) 입니다 

 

예를 들면 1초에 30번 진동하면 30Hz  1초에 1만번 진동하면 10000Hz 입니다 

 

그러면 20Hz 부터 200000Hz까지 그러면

 

20Hz 21Hz 22Hz 23Hz ········································· 199995Hz 199996Hz 199997Hz 199998Hz 199999Hz 200000Hz 

 

이렇게 199,980개의 Hz를 다 사용할까요??

 

그러면 음악이 고등고시보다 어렵겠죠??

 

음악에서는 최대한 많이 쓰는 음이 88개입니다 

 

이 88개의 음을 각자 높낮이 별로 Hz를 정해놨어요 법처럼요

 

각 음별 헤르츠

위에 표를 보시면 88개 음별로 음악에서 정한 헤르츠가 적혀져 있죠??

 

왼쪽에서 4번째 음 

 

C1 음을 보면 32.703Hz 입니다 대충 33Hz라고 보면 됩니다 

 

오른 쪽에서 첫번째 음 

 

C8 음을 보면 4186Hz 입니다 아까보다 훨 높죠??

 

그래서 왼쪽은 낮은 음 오른쪽은 높은 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갈수록 높은 음인거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낮은 음인거고요

 

그러면

 

우리가 이 88개의 음별로 헤르츠를 다 외워야하나??

 

그러면 저부터 음악 때려 칩니다 ㅋㅋ

 

음별로 헤르츠를 맞춰주는 것은 전문조율사나 기계에게 맡기면 됩니다

 

우리는 그냥 저 음들의 이름만 알고 

 

악보를 보고 저 음들을 연주할줄만 알면 됩니다 

 

다음부터는 이제 소리는 끝내고 음악으로 들어가겠습니다